목록전체 글 (188)
forest_moon
팩토리얼 팩토리얼이란 차례대로 곱한 수로, 느낌표를 사용하여 나타냅니다. # 팩토리얼 예 1! = 1 = 1 2! = 2 x 1 = 2 3! = 3 x 2 x 1 = 6 4! = 4 x 3 x 2 x 1 = 24 팩토리얼을 사용한 예제 입력) 4 public class Factori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ber = Integer.parseInt(args[0]); // 입력값 printFactorial(number); //결과 } public static void printFactorial(int n) { // 정수 n을 입력받아 n!의 결과를 출력 int result = 1; System.out.printf("%d! = ", n); ..

반복문(loops) 많은 데이터들을 반복잡업하는데에는 한계가 있다. 실생활 반복문 반복문이란? 정의 규칙적 반복 코드를 단순화하는 문법. 이를 반복문이라 한다. 이를 통해 코드 압축이 가능하다. 종류 대표적 반복문으로는 while 문과 for 문이 있다. while 문은 반복 횟수가 상황따라 다른 경우에 사용한다. 이와 반면, for 문은 반복획수가 명확할 때 좋다. while 문 구조 및 동작 while 문의 구조 및 실행 흐름은 아래와 같다. // ①➝②를 반복(조건식이 거짓이 될 때까지) while (①조건식) { ②반복 내용 } 코드 예 1부터 10까지 출력하는 코드 int n = 1; while (n

조건문 상황에따라 조건을 걸어 동작을 다르게 하고 싶다 ? 실생활 조건문들 오늘은 뭘 먹지? 오늘은 어떤 옷을 입지? 등등.. 특정 상황에 따라, 다른 행동을 취해야 할 때가 있다. 프로그래밍 또한 마찬가지다. 특정 조건에 따라 결과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조건문(conditionals)이라 한다. 조건문이란 ? 정의 상황에 따라 실행 흐름을 달리하는 문법. 이를 조건문이라 한다. 이를 사용하면 버스카드 요금을 나이로 정한다거나, 시험 점수에 따른 등급을 나눌 수 있다. 종류 이러한 조건문의 대표적 종류로는 if / else / else-if 가 있다. if 문 특정 동작을 하거나 말거나(do or nothing) 할 때, if 문을 사용한다. if (조건식) { // 조건식이 참이면 수행할 내용 ..

타입과 형 변환 나눗셈 연산 주의 int와 int의 연산 결과는 int이다. double과 int의 연산은 double이다. 숫자간 연산은 더 큰 타입을 따른다. double a = 5.0 / 2.0; // 2.5 int b = 4 / 2; // 2 int c = 5 / 2; // 2.5 (X) => 2 (O) 타입 불일치 주의 변수에 값 대입 시, 그 값이 변수의 타입과 일치해야 한다. // 타입 불일치 에러 int score = "100"; // 해결 방법 int score = 100; // int로 일치 String score = "100"; // String으로 일치 int score = Integer.parseInt("100"); // "100" => 100 타입 변환 주의 타입 불일치의 문제는..

자바 프로그래밍 역할 자바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이다. 자바는 사람의 명령을 컴퓨터의 언어로 바꿔준다. 이렇게 자바 언어로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것. 이를 자바 프로그래밍이라 한다. 과정 개발자는 컴퓨터에게 시킬 일들을 자바 언어로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코드를 소스코드라 한다. 소스코드는 컴파일러(compiler)라는 번역기를 통해 기계어로 바뀐다. 비로소 컴퓨터는 기계어를 수행하게 된다. 특별히 자바 코드가 기계어로 번역되는 과정. 이를 컴파일링(compiling) 이라 한다. 요약 프로그래밍이란, 컴퓨터에게 일을 시키는 것이다. 바이너리 언어란,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컴퓨터 언어이다. 자바를 통해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컴파일링이란, 소스코드가 기계어로 번역되는 것이다. 객체 지향 언어..

SQL을 실행할때 보면 분명 맞는데 쿼리의 실행 순서를 모르고 문법을 실행 해서 오류가 난적이 많았다. 실제 쿼리의 실행순서는 다음과 같다. 1. FROM 2.WHERE 3.GROUP BY 4,HAVING. 5.SELECT. 6.ORDER BY 각 순서에 대해서 정리해보면. FROM 절 FROM절에서 전체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가져온다. WHERE절 WHERE절에서는 FROM절에서 읽어온 데이터에서 조건에 맞는 결과만 데이터를 간추려 준다. GROUP BY 절 선택한 칼럼으로 GROUPING 작업을 한 결과를 갖고 있습니다. GROUP BY 절을 사용하게 되면 해당 칼럼으로 그룹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HAVING 절 HAVING절은 그룹핑 작업이 된 이후에 사용되는 조건절이다. HAVING절의 조건..
문제 설명 문자열 my_string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my_string은 소문자, 대문자, 자연수로만 구성되어있습니다. my_string안의 자연수들의 합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 ≤ my_string의 길이 ≤ 1,000 1 ≤ my_string 안의 자연수 ≤ 1000 연속된 수는 하나의 숫자로 간주합니다. 000123과 같이 0이 선행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문자열에 자연수가 없는 경우 0을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my_string result "aAb1B2cC34oOp" 37 "1a2b3c4d123Z" 13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aAb1B2cC34oOp"안의 자연수는 1, 2, 34 입니다. 따라서 1 + 2 + 34 = ..
문제 설명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numbers의 원소 중 두 개를 곱해 만들 수 있는 최댓값을 return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10,000 ≤ numbers의 원소 ≤ 10,000 2 ≤ numbers 의 길이 ≤ 100 입출력 예 numbers result [1, 2, -3, 4, -5] 15 [0, -31, 24, 10, 1, 9] 240 [10, 20, 30, 5, 5, 20, 5] 6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3 * -5 = 15 입니다. 입출력 예 #2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10 * 24 = 240 입니다. 입출력 예 #3 두 수의 곱중 최댓값은 20 * 30 = 600 입니다. import ja..